|
K-바이오헬스 지역센터 지원사업은 전국의 바이오헬스 클러스터를 지역 거점형 클러스터로 육성하고, 지역 내 바이오헬스 분야 창업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2022년부터 시행돼 3년간 574개 바이오헬스 창업기업이 클러스터의 시설과 장비를 활용하고, 병원과 연계해 임상시험 등을 수행했다. 초기 기업이 겪는 장비와 연구 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했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올해 사업에서는 바이오헬스 클러스터 운영기관을 지원사업 주관기관으로 삼아 지역 거점형 클러스터를 육성하고 지역 간 연계·협력체계를 구축한다.
신규 선정된 6곳은 각 지역을 대표하는 거점형 클러스터로 기능하는 한편 지역 내 바이오헬스 창업기업의 육성·지원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각 지역의 병원이 지원사업에 참여해 창업기업에 의료 빅데이터, 시험·분석 등을 제공함으로써 사업화를 지원한다.
정은영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바이오헬스 산업의 특성상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한 협업체계 구축이 중요하다"며 "거점별 클러스터를 육성하고 병원과 연계를 통해 창업기업들이 더욱 빠르게 시장에 진입하고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표] K-바이오헬스 지역센터 운영 주관기관(컨소시엄) 선정 결과
┌──┬─────┬──────┬─────────────────────┐
│연번│ 주관기관 │ 참여기관 │ 주요 특징 │
├──┼─────┼──────┼─────────────────────┤
│ 1 │김해의생명│양산부산대학│- (협력기관) 김해시보건소, 경상국립대학교 │
│ │산업진흥원│ 교병원 │병원, 김해복음병원, 김해한솔재활요양병원 │
│ │ │ │- 부산테크노파크, 부산대병원, 울산정보산업│
│ │ │ │진흥원 등 경남권 내 기관 연계를 통한 부울 │
│ │ │ │경 협력 체계 구축 │
├──┼─────┼──────┼─────────────────────┤
│ 2 │ 대전 │충남대학교병│- (협력기관) 바이오헬스케어협회 │
│ │테크노파크│원, 대전을지│- 대전 바이오헬스 창업 성장 협업 플랫폼을 │
│ │ │ 대학교병원 │기반으로 글로벌 유니콘기업 육성 추진 │
├──┼─────┼──────┼─────────────────────┤
│ 3 │원주의료기│ 연세대학교 │- (협력기관) 강릉과학산업진흥원, 춘천바이 │
│ │기테크노밸│원주세브란스│오산업진흥원 │
│ │ 리 │ 기독병원 │- 강원도 내 기관과 연계를 통해 강원권역의 │
│ │ │ │의료기기 창업기업 종합지원 및 지역 교류 활│
│ │ │ │성화 추진 │
├──┼─────┼──────┼─────────────────────┤
│ 4 │전남바이오│화순전남대학│- (협력기관) 전남대학교병원, 국가백신안전 │
│ │ 진흥원 │ 교병원 │기술지원센터,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 │ │ │- 전남-광주 바이오헬스케어 산업(감염병 백 │
│ │ │ │신, AI기반 바이오헬스기기, 첨단 바이오 면 │
│ │ │ │역 치료제, 재생의학 기반 첨단치료·재생 의│
│ │ │ │료기기) 협력 체계 구축 │
├──┼─────┼──────┼─────────────────────┤
│ 5 │전북특별자│전북대학교병│- (협력기관) 대자인병원, 예수병원, 전북대 │
│ │치도경제통│원, 원광대학│학교 인수공통전염병 연구소, 전북바이오융합│
│ │ 상진흥원 │ 교병원 │산업진흥원 등 │
│ │ │ │- 연구개발특구 등 전북 주력산업(동물용의약│
│ │ │ │품, 미생물산업, 한방산업, 화장품)과 연계한│
│ │ │ │ 창업기업 성장지원 │
├──┼─────┼──────┼─────────────────────┤
│ 6 │충북바이오│충북대학교병│- (협력기관) 충북대학교 G-테크벤처센터, 오│
│ │산학융합원│ 원 │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
│ │ │ │- 충북 바이오 혁신기관 협의체를 활용하여 │
│ │ │ │보유 장비 활용 및 사업화 지원 협업 예정 │
└──┴─────┴──────┴─────────────────────┘
※ 보건복지부 제공.
jandi@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