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美 연구팀 "디지털기기 사용하면 노년기 인지 저하 위험 감소"

김소형 기자

영문보기

기사입력 2025-04-15 09:09 | 최종수정 2025-04-15 09:14


美 연구팀 "디지털기기 사용하면 노년기 인지 저하 위험 감소"
이미지=픽사베이

전 세계적으로 컴퓨터,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술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가운데, 디지털 기술과 함께 성장한 첫 세대가 치매 증상이 흔히 나타나는 연령에 이르고 있다. 디지털 기기 의존으로 직접 기억, 계산, 정보 처리를 하는 능력이 퇴화한다는 디지털 치매 가설이 널리 알려졌지만, 반대로 정기적인 디지털 기술 사용이 인지 능력 보존 행동을 촉진해 인지 저하를 줄인다는 가설도 있다.

15일 과학 저널 네이처 인간 행동(Nature Human Behaviour)에 발표된 논문에서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 재러드 벤지 교수와 베일러대 마이클 스컬린 교수팀은 디지털 기술 사용이 오히려 노년기 인지 저하 위험을 줄여준다고 밝혔다. 성인 41만여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기술 사용이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57개 연구를 메타분석해 얻은 결과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디지털 기술 사용이 인지 능력을 약화한다는 '디지털 치매' 가설과 모순된다며 오히려 기술 노출이 기술적 예비력을 형성, 인지 기능 저하를 늦추는 완충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동료 심사 논문을 게재하는 주요 DB(Medline, PsycInfo, CINAHL, Science Direct, Scopus, Cochrane Library, ProQuest, Web of Science 등)에서 디지털 기술 사용과 노년기 인지 기능 관계를 조사한 연구를 검색, 기준을 충족하는 논문 57편을 선택해 분석했다. 성인 41만1430명(평균 연령 68.7세)이 참여한 관찰 또는 코호트 연구로, 50세 이상의 일반적인 디지털 기술 사용에 초점을 맞춰 인지 또는 치매 진단 결과를 통해 인지 능력 변화를 관찰한 내용을 포함한다.

분석 결과 디지털 기술 사용에 따른 인지 장애 위험 오즈비(Odds Ratio)가 0.42(95% 신뢰구간)로 나타났다. 디지털 기술을 많이 사용하는 그룹이 디지털 기술 사용이 적은 그룹보다 인지 장애 위험이 58% 낮다는 의미다. 또 디지털 기술 사용과 인지 능력 간 관계를 평균 6.2년간 추적한 종단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술 사용이 인지 능력 저하 위험을 평균 26%(HR=0.74) 낮추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디지털 치매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찾지 못했고, 디지털 기술 사용의 인지 저하 감소 효과는 인구통계학적, 사회경제적 요인과 건강, 인지 예비력 지표 등을 고려할 때도 유의미하게 유지됐다고 밝혔다. 다만 이 연구가 디지털 기술 사용과 인지 건강 연관성을 보여주지만 인과적 메커니즘은 제공하지는 못한다며,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