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앞으로는 산불 발생지역의 '최대 순간풍속'을 활용해 산불 확산 예측에 나선다.
산불의 화선(火線·불의 띠) 정보가 부족해 확산 예측이 어려울 경우 최악의 산불 피해를 낸 경북권 산불의 최대 확산속도를 적용한다.
행정안전부와 산림청은 1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초고속 산불 대비 주민대피 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지난달 경북 의성과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 경북 북부지역과 경남 산청, 하동에서 발생한 산불은 초속 20m 이상의 초강력 강풍을 타고 빠르게 확산했다.
산불사태 당시 최대 순간풍속은 안동에서 초속 27.6m 기록했다. 이는 시간당 8.2㎞ 속도로 산불이 확산하는 것을 뜻한다.
산림청은 삽시간에 번지는 산불이 어디로 옮겨갈지 예측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이는 적절한 주민 대피 시점을 놓치는 원인이 됐다.
이에 따라 대피 시 이동이 어려운 60∼70대 고령층에 인명피해가 집중되며 모두 82명의 사상자가 나왔다.
산림청은 산불 재난 시 '산불확산예측시스템'을 활용해 산불 확산 정도를 예측해왔으나 이번 산불사태에서는 정확도가 크게 떨어졌다.
산세를 타고 풍향이나 풍속이 급변하는 상황에도 예측시스템은 일반 평지의 풍속 등을 적용해 잘못된 예측치를 낸 탓이었다.
산림청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평균 풍속이 아닌 최대 순간풍속을 고려해 산불 확산 범위를 예측하도록 산불확산예측시스템을 개선한다.
또 산불이 발생했을 경우 화선 정보를 확보한 경우와 그렇지 못한 경우로 나눠 위험구역 범위를 다르게 설정해 주민대피에 활용한다.
진화용 헬기나 드론 비행 등을 활용해 화선 정보가 파악된 경우에는 최대 순간풍속 등을 토대로 산불예측시스템을 가동해 화선 도달거리를 산출한다.
화선 도달거리가 5시간 이내로 예상된 지역은 '위험구역'으로, 8시간 이내인 경우는 '잠재적 위험구역'으로 설정해 해당·주변 지방자치단체에 이를 통보해 주민 대피체계가 가동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드론 비행 등이 어려워 화선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엔 경북권 산불 당시 최대 순간풍속인 초속 27.6m를 최대 순간풍속 값으로 적용해서 산불확산 예측에 활용한다.
인명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최악을 가정해 대피 계획을 세우기 위한 것이다.
이럴 경우 위험구역과 잠재 위험구역 범위가 확대돼 신속히 대피해야 하는 주민 수와 권역이 늘어나게 된다.
정부는 이번 개선책에 따라 기존에 화선 정보가 없어 산불 확산을 예측할 수 없거나 지자체에 관련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상황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했다.
◇ 주민 대피경보 '3단계'로…전기·통신망 단절 땐 '민방공 경보' 활용
산림청이 산불예측시스템을 활용해 위험·잠재위험구역 정보를 지자체에 제공하면 지자체는 3단계로 나눠 주민대피 절차에 나선다.
1단계인 '준비'(Ready) 단계는 인근 시도에서 산불이 났을 경우 앞으로 주민에게 대피 지시가 내려질 수 있다는 점을 알리는 단계다.
2단계는 '실행 대기'(Set) 단계다. 8시간 내로 산불이 확산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구역에 내려진다. 주민들은 대피 시 필요한 행동요령을 미리 확인한다.
2단계 하에서 고령자 등 취약계층은 별도 '사전대피' 발령 하에 대피 인력의 지원을 받아 해당 구역을 빠져나가게 된다.
3단계 '즉시 실행'(Go) 단계는 5시간 내 산불이 도착할 수 있는 위험구역에 발령된다. 주민은 '즉시 대피' 명령에 따라 신속히 대피한다. 3단계에서 '긴급 안전확보' 명령이 내려오면 안전 확보에 최대한 주력하며 함께 이동한다.
이와 별도로 각 지자체는 인근에 산불이 발생한 상황에서 최대 순간풍속이 초속 20m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면 초고속 산불 확산 가능성에 대비한 대피 준비에 나서도록 했다.
초고속 산불 예상 시 주민 대피 안내는 기존 마을 단위(구역)에서 읍·면(지역), 시·군·구(권역)까지 확대해 검토한다.
아울러 산불로 유무선 통신망 먹통, 전력 공급 중단 등 '라이프라인'이 단절될 경우 재난문자 외에 다양한 재난정보 전달매체를 복합 활용하기로 했다.
전기와 통신망이 동시에 멈추면 '민방공 경보 단말'을 활용해 대피 정보를 전달하고, 가두방송 차량도 대피 안내에 활용한다. 상황이 긴급할 경우에는 마을순찰대 등 인적 수단을 활용해 주민 대피를 돕기로 했다.
eddie@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