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코로나 후유증 '롱코비드' 환자, 치매 가능성 최대 5배 높아"

장종호 기자

영문보기

기사입력 2025-04-16 14:15


"코로나 후유증 '롱코비드' 환자, 치매 가능성 최대 5배 높아"
자료사진 출처=픽사베이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코로나19 감염 이후에도 계속 증상이 지속되는 '롱코비드(Long COVID)'를 겪은 사람은 치매에 걸릴 확률이 최대 5배까지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롱코비드는 코로나19 중증도와 관계없이 나타나며 피로감, 숨 가쁨, 기침, 근육통, 흉통, 후각·미각 상실, 우울·불안 등의 증상이 일정 기간 계속 관찰된다. 개인별 상황 등에 따라 짧게는 감염 이후 4주 이상, 길게는 12주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영국·일본·러시아·아르헨티나 등 다국적 연구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인 SARS-CoV-2 감염의 후유증과 인지 장애에 관한 연구' 결과를 최근 노인 신경과학 국제 학술지 'Frontiers in Aging Neuroscience'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60세가 넘었을 때 코로나에 걸린 환자 40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초기 연구 결과에 따르면 롱코비드를 겪고 있는 65세 이상의 사람들 중 최대 3분의 1이 치매의 전조인 경미한 인지 장애 기준에 해당됐다.

이는 롱코비드 증상이 없는 같은 연령대 집단과 비교하면 유병률이 4~5배 높은 것이다.

경미한 인지 장애가 항상 치매의 징조는 아니지만, 이런 증상의 사람 6명 중 1명은 1년 이내에 치매 진단을 받는다.

연구에 참여한 텍사스 보건 샌안토니오 대학의 신경학자 가브리엘 드 에라우스퀸 박사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노출된 환자가 알츠하이머병에 걸릴 위험이 더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지난해 8월에 발표된 한 연구에 따르면, 약 100만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코로나19로 입원한 65세 이상 노인 중 약 3분의 2가 인지 기능 저하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병원체가 치매로 이어질 수 있는 변화를 촉발하는지, 아니면 바이러스가 뇌의 기존 문제를 가속화하는지 아직 밝혀내지는 못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코로나19로 인한 경도 인지 장애가 치료될 수 있는지를 연구하고 있다.

한편 작년 8월 학술지 '네이처 메디슨(Nature Medicine)' 저널에 발표된 추정치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2023년 말 현재 약 4억 900만명이 롱코비드를 앓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