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美입항수수료에 中가격경쟁력 하락 전망…K조선 반사이익 기대감

기사입력 2025-04-18 11:02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이지은 기자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7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K-조선 수출금융 지원 협약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정부와 12개 은행은 우리 조선업계가 글로벌 1위 경쟁에서 수주경쟁력을 확보하고, 수출을 확대할 수 있도록 금융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2024.6.17 jieunlee@yna.co.kr
(울산=연합뉴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6일 HD현대중공업 울산 조선소에서 초계함에 승선해 설명을 듣고 있다. 2025.4.16 [국무총리실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photo@yna.co.kr
美, 中해운사·중국산 선박에 美 입항수수료…"국내 조선사 수혜"

트럼프 러브콜 이후 한미협력 분위기↑

(서울=연합뉴스) 홍규빈 기자 = 미국이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 등에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한국 조선업이 수혜를 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글로벌 해운사들이 수수료 부담을 피하기 위해 중국산 선박 비중을 줄이고 한국 조선업체에 대한 발주를 늘릴 수 있다는 분석에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자국 조선업 재건 기조에 따라 국내 조선업이 한미 협력 등을 통해 도약의 기회를 잡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 中가격경쟁력 타격…LNG·LPG 운반선 등 수혜 기대

미국무역대표부(USTR)는 17일(현지시간) 중국 해운사,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 외국에서 건조한 자동차 운반선 등에 미국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의 자국 조선업 재건 기조의 연장선상으로 한국 조선업은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중국 조선업은 공격적인 저가 수주를 통해 글로벌 점유율을 높여왔는데 이번 입항 수수료로 가격 경쟁력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중국은 지난해 4천645만CGT(표준선 환산톤수·1천711척)를 수주해 전 세계 수주량의 71%를 차지했고, 한국은 17%인 1천98만CGT(250척)를 수주했다.

업계 관계자는 "이전까지는 많은 선사가 원자재와 인건비 등에서 저렴한 중국 선박을 찾았다"며 "이번 미국 정부의 정책을 신호탄으로 국내 조선사들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특히 한국이 경쟁력을 가진 고부가가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을 비롯해 미국 물동량 비중이 높은 액화석유가스(LPG)와 에탄 운반선 수주가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IBK투자증권은 "LPG 글로벌 물동량에서 미국발 비중이 2028년 60%까지 증가하는 국면에서 LPG 운반선 점유율 1위인 한국 조선소의 과점 프리미엄은 강화될 것"이라며 "에탄 운반선은 LNG 운반선에 준하는 마진까지 더해 수익성 상승에 기여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 반사이익 현실화 분위기도…"中업체 계약 파기 가능성"

올 초부터 한국 조선업의 반사이익 기류가 차츰 나타나고 있었다는 점에서 업계는 더욱 기대감을 갖는 분위기다.

외신과 업계에 따르면 그리스 선주 에반겔로스 마르나키스의 캐피탈마리타임은 HD현대삼호·HD현대미포와 20척 규모 계약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HD현대삼호는 8천800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 컨테이너선 6척, HD현대미포는 2천800TEU 8척과 1천800TEU 6척을 건조하는 내용이다. 계약 규모는 15억5천만달러(약 2조 2천억원)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미국 입항 수수료 부과를 염두에 두고 가격이 싼 중국 업체가 아닌 한국 업체를 고른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아울러 트레이드윈즈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국 조선업체들에 대한 벌크선 주문량은 13건으로 1993년 이후 32년 만에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같은 기간 143건 대비 90.9% 감소한 수준이다.

트레이드윈즈는 미국 USTR의 수수료 부과 계획이 중국의 벌크선 수주 감소에 영향을 끼쳤다고 분석했다.

업계 관계자는 "수수료가 현실화한 만큼 선사들이 중국 업체와 계약 초기의 계약을 파기할 가능성도 있을 것"이라며 "선사들이 중국산 비중을 낮추려고 즉각적인 조치를 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선사들이 항로 간 중국산 선박 재배치, 법인 분리, 얼라이언스 내 선박 스와프 등을 통해 수수료 부과를 우회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 트럼프 러브콜 이후 한미 협력 무드 지속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조선업 분야에서 대(對)중국 견제와 한미 조선업 협력 가능성은 계속 커지는 모양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당선인 신분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과 통화에서 "한국의 세계적인 군함 및 선박 건조 능력을 잘 알고 있으며, 우리 선박 수출뿐만 아니라 보수·수리·정비(MRO) 분야에서도 긴밀하게 한국과 협력을 할 필요가 있다"며 한국과의 협력을 처음 언급했다.

이후 조선업은 반도체, 자동차 등에 대한 미국의 관세 부과, 보조금 철폐 압박이 거센 상황에서 대미 통상 전략의 지렛대로도 떠올랐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지난 16일 울산 HD현대중공업을 찾아 "양국의 이익을 증진하며 우리 조선 산업의 재도약을 이끌 소중한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조치는 단순한 무역 제재를 넘어 미국이 자국 해운산업 재건을 위해 우방국과의 전략적 공급망 재편을 본격화하겠다는 신호로 보인다"며 "한국 조선소가 미국의 조선산업 재건 전략에 있어 실질적인 대안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맞은 것"이라고 평가했다.

bingo@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