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평지, 경사로 등 약 21㎞ 주파…넘어져 부서지자 조종수 망연자실하기도
세계 최초 휴머노이드 로봇 하프마라톤 대회가 사회자 신호에 맞춰 시작됐다.
이날 대회에 참가해 치열하게 경쟁한 휴머노이드 로봇은 예선을 뚫고 올라온 21대.
바로 옆 두 개 차선에서 '인간' 참가자 9천여명이 줄줄이 마라톤 경주를 시작하는 동안 로봇들 역시 1∼2분 간격으로 한 대씩 출발선을 벗어났다.
로봇 곁에는 길잡이·조종수·엔지니어 등 보조 인력이 바짝 붙어 로봇 속도에 맞춰 함께 달리거나 걸었다. 뒤에는 관계자 등 5∼6명을 태운 차량이 뒤따랐다.
참가 로봇들은 직립 2족보행 구조였으나 크기와 무게, 주행 능력은 제각각이었다.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힌 톈궁(天工)의 '톈궁 1.2맥스'는 키 180㎝에 몸무게 52㎏의 검은색 로봇이었다. 출발점부터 사람 도움 없이 혼자 일정한 속도로 달려 나갔고, 결국 출발 2시간 반 만에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중계 전광판에는 사람에 맞먹는 시속 8∼10㎞의 주행 속도가 표시됐다.
주최 측은 보도자료에서 같은 크기의 '톈궁 울트라'를 소개하면서 평균 시속 10㎞, 최고 시속 12㎞에 경사 있는 길과 계단, 풀밭, 자갈밭, 모래밭 등에서 주행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하이파이슝디(海派兄弟)가 출품한 로봇은 80㎝에 10㎏에 불과한 작은 크기였으나 시속 4.5㎞로 씩씩하게 주행을 이어 나갔다.
베이징과학기술직업대학팀의 '작은 거인'도 높이는 75㎝였지만, 외부 간섭이나 충격에도 안정적인 보행이 가능하다는 점을 장점으로 내세웠다.
중국의 대표적 휴머노이드 기업 유니트리도 132㎝·35㎏의 로봇 G1을 출전시켰다.
로봇들이 넘어지고 부서지는 일도 잇따랐다.
선눙(神農)로봇이 출품한 휴머노이드는 일본 애니메이션 '건담' 형상을 해 눈길을 끌었다.
주최 측은 "선진 동력 추진 항공 동력 시스템으로 최적화한 공기동역학 설계를 결합해 장시간 항속과 고중량의 균형을 이뤘다"고 설명했으나, 이 로봇은 출발선을 벗어난 직후 너무 빠른 속도로 전진하다 조종 인력의 손을 벗어나 쓰러졌다.
젊은 여성의 얼굴을 한 강바오(鋼寶)팀의 로봇 '환환'(幻幻)은 야외 달리기보다는 다양한 실내 환경에 장점이 있는 제품으로 홍보됐다.
바로 뒤 조종수가 끈으로 붙든 이 로봇은 느릿느릿 나아갔는데, 조종수의 부축이 다소 느슨해진 사이 뒤로 넘어져 파손됐다.
환환 조종수는 뒤에서 로봇을 붙잡은 채 망연자실한 표정을 지었고, 주최 측은 후속 로봇의 주행을 돕기 위해 경고 팻말을 세웠다.
이날 로봇들은 난하이쯔공원 남문에서 퉁밍호 정보센터까지 21.0975㎞를 달렸다. 평지와 경사로, 좌회전, 우회전 도로가 섞여 있다. 제한 시간은 3시간 30분이다.
경기 중 로봇을 바꿔 계주 형식으로 달리는 것도 허용되지만 페널티가 부과된다. 코스 곳곳에 로봇 및 배터리 교체를 위한 별도 공간이 마련됐다.
완주 시간과 페널티를 합산해 1∼3위 팀에 3천∼5천위안(약 58만∼97만원)의 상금을 주고 완주상과 최우수 지구력상, 최고 인기상 등 특별상도 준비됐다.
애초 대회는 지난 13일 열릴 예정이었으나 최대 시속 165㎞의 태풍급 강풍이 예보돼 연기됐다.
이날 행사에는 아침 일찍부터 세계 각국의 외신 기자 100여명 등 수백명의 취재진과 중국 인플루언서들이 모여 높은 관심을 보였다.
xing@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