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쿄·서울=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신선미 기자 = 한국이 쌀값이 폭등한 일본에 판매용 쌀 22t 수출을 추진한다. 관련 통계가 있는 1990년 이후 35년 만에 최대 물량이다.
이 업체는 농협경제지주 자회사인 NH농협무역의 일본 지사로, 1999년 설립 이후 이번에 처음으로 쌀을 한국에서 수입했다.
농협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일본 쌀값 급등과 한국 쌀 소비 촉진 운동 등을 계기로 수입을 결정했다"며 "추가 물량 10t은 선적이 완료됐고, 통관 등을 거쳐 5월 중순께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한국산 쌀은 '한국 농협' 홈페이지와 온라인 쇼핑몰 아마존, 도쿄 내 코리아타운인 신오쿠보 슈퍼 등에서 판매됐다. 이달에 팔린 쌀은 전남 해남에서 수확한 것이다.
농협인터내셔널이 운영하는 홈페이지 기준 한국산 쌀의 배송료 포함 가격은 10㎏이 9천엔(약 9만원), 4㎏이 4천104엔(약 4만1천원)이다. 일본 슈퍼에서 팔리는 쌀 가격이 5㎏에 4천엔대 초반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가격 경쟁력이 있는 편은 아니다.
농협인터내셔널 관계자는 ㎏당 관세 341엔(약 3천400원), 통관 비용, 일본 내 운송비 등을 포함해 가격을 산정했다고 설명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한국은 2011∼2013년, 2016년에 각각 쌀 10t 안팎을 일본에 수출했다.
2011년께는 동일본 대지진으로 구호용 쌀을 일본에 보낸 것으로 추정되지만, 수출 물량의 정확한 용도는 알 수 없다고 aT 측은 설명했다.
한국 정부는 일본으로의 쌀 수출 규모가 국내 쌀 과잉 문제를 해결할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수출과 관련해 "홍보 차원에서 의미가 있을지는 몰라도 국내 쌀 수급과 가격에 영향을 미칠 만한 물량은 아니다"라며 "(영향이 있으려면) 2만∼3만t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이 앞으로 쌀을 증산한다고 하는 만큼 앞으로 상황을 더 봐야 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psh59@yna.co.kr, sun@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