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부터 200일간 잠정 시행…당국 "印 철강업계 보호 조치"
(서울=연합뉴스) 유창엽 기자 =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인도가 자국 철강업계 보호를 위해 저가 수입 철강제품에 대해 한시적으로 12%의 세이프가드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일반적으로 세이프가드는 특정 품목을 수출한 모든 국가를 상대로 취해지는 긴급 수입 제한 조치다. 이번 인도 정부 조치는 중국산 저가 철강제품을 주로 겨냥한 것으로 분석된다.
21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인도 재무부는 공식 명령을 통해 이날부터 일부 수입 철강 제품에 200일간 세이프가드 잠정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행정부가 이달 들어 여러 나라를 상대로 광범위한 관세를 물리고 중국과는 격렬한 무역전쟁을 개시한 이후 인도가 처음 도입한 대형 무역정책 변경이라고 로이터는 전했다.
앞서 인도에서는 수년 전부터 중국산 저가 철강제품이 쇄도하면서 일부 인도 철강업체가 생산량을 줄이고 종업원 감축을 검토하는 등 어려움에 직면했다. 이에 철강업계는 보호 조치를 정부에 요구해왔다.
인도 정부는 지난해 12월부터 관련 문제에 대한 조사를 벌여왔다.
H.D. 쿠마라스와미 인도 철강부 장관은 성명에서 이번 조치는 수입 급증의 부정적 영향으로부터 국내 철강업계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시장 내 공정한 경쟁을 보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쿠마라스와미 장관은 이어 "이 조치가 수입 급증에 따른 엄청난 압력에 직면해온 (인도) 국내 업체들, 특히 중소기업들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도의 이번 조치는 2024∼2025 회계연도(2024년 4월∼2025년 3월)에 인도에 대한 철강 제품 수출국으로는 한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중국을 주로 겨냥한 것이라고 로이터는 전했다.
인도의 주요 철강업체 한 임원은 로이터에 "이번 조치는 업계에서 기대해온 대로 이뤄진 것으로 우리는 이제 이 조치가 어떻게 업계를 지원하게 되는지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는 2024∼2025 회계연도에 950만t 철강제품을 수입해 9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yct9423@yna.co.kr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유창엽 기자 =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인도가 자국 철강업계 보호를 위해 저가 수입 철강제품에 대해 한시적으로 12%의 세이프가드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21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인도 재무부는 공식 명령을 통해 이날부터 일부 수입 철강 제품에 200일간 세이프가드 잠정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행정부가 이달 들어 여러 나라를 상대로 광범위한 관세를 물리고 중국과는 격렬한 무역전쟁을 개시한 이후 인도가 처음 도입한 대형 무역정책 변경이라고 로이터는 전했다.
앞서 인도에서는 수년 전부터 중국산 저가 철강제품이 쇄도하면서 일부 인도 철강업체가 생산량을 줄이고 종업원 감축을 검토하는 등 어려움에 직면했다. 이에 철강업계는 보호 조치를 정부에 요구해왔다.
인도 정부는 지난해 12월부터 관련 문제에 대한 조사를 벌여왔다.
H.D. 쿠마라스와미 인도 철강부 장관은 성명에서 이번 조치는 수입 급증의 부정적 영향으로부터 국내 철강업계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시장 내 공정한 경쟁을 보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쿠마라스와미 장관은 이어 "이 조치가 수입 급증에 따른 엄청난 압력에 직면해온 (인도) 국내 업체들, 특히 중소기업들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도의 이번 조치는 2024∼2025 회계연도(2024년 4월∼2025년 3월)에 인도에 대한 철강 제품 수출국으로는 한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중국을 주로 겨냥한 것이라고 로이터는 전했다.
인도의 주요 철강업체 한 임원은 로이터에 "이번 조치는 업계에서 기대해온 대로 이뤄진 것으로 우리는 이제 이 조치가 어떻게 업계를 지원하게 되는지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는 2024∼2025 회계연도에 950만t 철강제품을 수입해 9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yct9423@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