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안=연합뉴스) 형민우 기자 = 전남 신안 해상에 아시아·태평양 최대 규모의 해상풍력 집적화단지가 추진돼 에너지 기본소득 지급을 위한 발걸음도 빨라지게 됐다.
집적화단지는 지자체 주도로 민관협의회를 통해 주민 수용성과 환경성을 확보해 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을 집단으로 설치·운영하는 구역이다.
신안 해상풍력 집적화단지는 10개 단지로 구성돼 있으며 단일단지 기준으로 아시아·태평양 최대 규모로, 민자 20조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설비 용량 기준으로는 원전 3기에 해당한다.
전남도는 집적화단지 사업으로 오는 2030년까지 해상풍력 16GW, 태양광 5.6GW, 육상 풍력 1.4GW 등 23GW를 조성할 계획이다.
현재 전남 해상풍력 전기사업 허가는 59개소에 18GW 규모로 전국 30.1GW 대비 60.1% 수준이다.
발전사업을 위한 풍향계측기도 52곳에 설치됐다.
에너지 기본소득 재원은 주민이 발전 사업에 참여해 받는 개발이익으로 충당할 예정이다.
발전사업에 주민이 참여해 수용성을 확보하면 정부에서 재생에너지 공급가격에 인센티브를 지급하는데 2030년 기준 1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도민 1인당 연간 57만원으로 발전소 유무에 따라 시군별로 차이가 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남도는 에너지 기본소득 지급 전에 시군별 격차를 완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전남도는 기본소득 지급은 조기 대선에서 주요 공약으로 다뤄질 가능성이 있어 실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여수, 고흥 등 동부권에도 13GW 규모의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해 해상 풍력의 바람이 전남 전역에 골고루 불 수 있게 하겠다"며 "해상 풍력으로 에너지 기본소득 1조원을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minu21@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