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비타민D를 충분히 섭취하면 대장암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 결과, 식이 비타민 D를 가장 많이 섭취한 사람(80ng/㎖)은 가장 적게 섭취한 사람(10ng/㎖)보다 대장암 위험이 2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국의 대규모 장기 연구인 간호사건강연구(Nurses' Health Study) 데이터에 따르면 비타민D 섭취량이 가장 많은 여성(477IU/일)은 가장 적게 섭취한 여성(76IU/일)보다 대장암 위험이 58%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관련해 연구진은 "비타민 D가 대장암 예방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시사한다"면서 "비타민D는 암세포 증식 및 염증을 억제하고 암세포를 사멸하며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일부 연구에 따르면 비타민 D는 결장직장 용종, 특히 고위험 선종의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의사는 주요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 비타민 D의 역할을 인식하고 환자에게 그 이점에 대해 알려야 한다고 연구진은 주장했다.
한편 비타민D는 '햇빛 비타민'이라고도 불리며, 뼈 건강과 면역력 유지에 필수적인 영양소이다. 칼슘 흡수를 촉진하고, 면역 기능을 강화하며, 기분 조절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타민D가 풍부한 식재료는 연어, 고등어, 참치, 버섯, 계란 노른자, 우유 및 요구르트 등이다.
다만 비타민D는 지용성이므로 과잉 섭취 시 고칼슘혈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섭취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신장결석 유발, 구토, 허약감, 변비, 설사, 식욕부진, 중추신경계 저하, 눈의 염증 등의 우려가 있으며,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은 기형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한국인의 비타민 D 영양섭취기준에 따르면 50세 이상 성인의 충분 섭취량은 10㎍(400IU), 그 이하는 모두 5㎍(200IU)이다. 임신부와 수유부는 5㎍씩 더 필요하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