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코스피, 1분기 역성장 충격속 약세 전환…2,520선 내줘(종합)

기사입력 2025-04-24 09:42

(서울=연합뉴스) 한상균 기자 = 23일 코스피는 38.92p(1.57%) 오른 2,525.56으로 장을 마쳤다. 코스닥은 9.96p(1.39%) 오른 726.08로 마감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모습. 2025.4.23 xyz@yna.co.kr
미중 관세 협상 기대감에도 투심 '얼음'…외인·기관 동반 순매도

'역대급 실적' SK하이닉스도 하락…코스닥도 약보합세

(서울=연합뉴스) 조민정 기자 = 코스피가 24일 미국 관세 우려 완화에도 1분기 국내 경제성장 부진 우려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오전 9시 20분 현재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8.20포인트(0.32%) 내린 2,517.36을 나타냈다.

지수는 전장보다 0.22포인트(0.01%) 내린 2,525.34로 출발한 뒤 보합권에서 등락하다 약세로 방향을 잡는 모습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이 1천236억원, 기관이 540억원을 순매도하며 지수에 하방 압력을 가하고 있다. 개인은 1천683억원의 매수 우위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6.4원 오른 1,427.0원에 거래를 시작했다.

간밤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잇단 유화 제스처에 상승 마감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1.07%,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67% 올랐고 나스닥지수는 2.50% 튀어올랐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대중 관세 인하 가능성을 언급한 데 이어 이날 장 마감 후에는 중국에 대한 관세율은 2∼3주내로 정할 수 있다고 구체적인 시점까지 언급하며 시장의 기대를 키웠다. 중국과의 협상 상황에 대해선 "매일 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다만 미중간 관세 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되더라도 관세 리스크는 잔존한다는 경계감이 작용하는 분위기다.

한국 증시는 미중 관세 우려 완화를 전날 증시에 선반영한 데다 이날 개장 전 발표된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2%로 역성장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됐다.

이날 주요 기업의 실적 발표가 예정된 가운데 장 시작 전 시장 기대를 웃도는 깜짝 실적을 발표한 SK하이닉스가 0.28% 하락 중이다.

삼성전자(-0.36%), LG에너지솔루션(-0.29%), 삼성바이오로직스(-2.72%), 현대차(-0.05%) 등 시가총액 상위주 상당수가 약세다.

한화오션(2.00%), 한화에어로스페이스(1.47%), 기아(0.22%), HD현대중공업(1.77%) 등은 오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인 트럼프 주니어가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 초청으로 다음 주 한국을 방문한다는 소식에 신세계I&C(13.32%)가 급등했다.

업종별로는 제약(-1.20%), 통신(-0.48%), 금속(-0.41%), 보험(-0.44%), 일반서비스(-0.33%), 오락문화(-0.33%), 전기전자(-0.18%) 등이 약세다. 반면 건설(0.85%), 의료정밀기기(0.64%), 기계장비(0.46%), 운송장비부품(0.52%), 종이목재(0.34%) 등은 오르고 있다.

같은 시각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19포인트(0.16%) 내린 724.89를 나타냈다.

지수는 전장 대비 0.87포인트(0.12%) 오른 726.95로 출발한 뒤 720대에서 오름세를 유지 중이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24억원, 252억원을 순매도 중이다. 개인은 596억원어치를 사들였다.

실리콘투(3.31%)를 비롯해 엔켐(3.55%), 에코프로(1.01%) 등 이차전지주, 클래시스(0.96%) 등이 오름세다.

펩트론(-2.98%), 에이비엘바이오(-1.73%), HLB(-1.61%), 보로노이(-1.30%), 에스엠(-1.42%) 등은 내리고 있다.

chomj@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