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 우리 국민 노출량, 인체 위해 우려 없거나 낮은 수준
비스페놀은 내열성과 강도가 높아 도시락 용기 등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제조 및 식료품 캔 내부·수도관 코팅용으로 쓰이는 에폭시수지 제조 등에 사용된다.
내분비장애물질로 알려져 국내에서는 어린이 제품, 화장품 등에 기준·규격이 설정돼 사용이 규제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비스페놀 A, 비스페놀 S, 비스페놀 F 등 비스페놀 3종의 위해도를 평가한 결과 인체 위해 우려가 없거나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통합위해성평가는 경구, 피부 등 노출경로와 식품·화장품·의약품·위생용품 등 노출원을 파악한 뒤 제품 중 비스페놀 오염도 등 정보를 수집·분석해 체내 총 노출량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평가 결과 지난해 기준 우리 국민의 비스페놀 A 총 노출량(0.005㎍/㎏ 체중(b.w.)/일)은 인체독성참고치(20㎍/㎏ b.w./일)의 0.02%로 인체 위해 우려가 없는 수준이었다.
인체독성참고치는 평생 노출돼도 위해 우려가 없다고 판단되는 유해물질 노출량을 의미한다.
작년 비스페놀 A의 총 노출량은 2020년에 비해 영아는 12%, 성인은 22% 수준으로 감소했는데, 이는 영유아 제품, 화장품 등에 대해 비스페놀 기준·규격을 설정해 관리한 결과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자세한 내용은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누리집(www.nifds.go.kr)에서 확인하면 된다.
hanju@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