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최평천 기자 = 박선영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위원장이 24일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5·18 북한 개입설에 대해 "내용을 모른다"고 답변하면서 회의가 1시간가량 파행했다.
민주당 소속 신정훈 행안위원장은 "'5·18에서 북한의 역할이 있었다'는 북한군 개입설에 대한 인식이 무엇인가"라고 재차 물었다.
박 위원장은 "논란은 있지만 저는 확인하지 못했다"며 "진실 여부를 제가 모른다"고 답했다.
신 위원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마저도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수록하겠다는 입장이었는데 박 위원장은 역사적 인식과 국민들의 합의를 왜곡하고 있다"며 "국회와 국민이 용서할 수가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답변의 기회를 드리고 완곡하게 말씀드리는데 그런 답변을 한다면 그 자리에 있을 자격이 없다"며 퇴장을 명령했다.
이에 박 위원장은 "국회법에 참고인 퇴장을 명령할 권한이 위원장에게 없다"며 퇴장 명령을 거부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원하는 답변 안한다고 퇴장시키는가", "답변을 강요한다"고 거세게 항의하면서 회의장에서 먼저 퇴장했다.
신 위원장은 소란이 이어지자 회의를 정회한 후 30분 뒤 개회했지만, 박 위원장은 자리를 지켰다.
국민의힘 조은희 의원은 "진화위원장 답변에 대해 우리가 왈가왈부하는 것은 안 맞는 것 같다"며 "민주당 의원들이 진화위에 대한 질의가 없으면 박 위원장을 이석 시키고 재난 대응 관련 현안 질의를 계속하자"고 제안했다.
신 위원장은 "더 이상 진화위에 대한 현안질의가 의미가 없기 때문에 이석해주기를 바란다"며 사태를 수습했다.
박 위원장은 "질의를 안 하겠다고 하니 이석하겠다"며 자리를 떴다.
박 위원장은 지난해 12월 23일 행안위 전체회의에서 민주당 의원들의 요구로 퇴장당한 바 있다. 당시 민주당 의원들은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사태 후 박 위원장을 임명했기 때문에 임명 자체가 무효라고 주장했다.
pc@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