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국내 연구진, 자폐스펙트럼장애 조기 선별 '사회적 상호작용 인지 AI' 기술 개발

김소형 기자

영문보기

기사입력 2025-04-29 11:47


국내 연구진, 자폐스펙트럼장애 조기 선별 '사회적 상호작용 인지 AI' …
 ◇ETRI 연구진이 사회적 상호작용 인식 AI 기술을 활용해 자폐스펙트럼장애 선별을 위한 영상을 분석하는 모습. 사진제공=ETRI

국내 연구진이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조기 선별이 가능한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영유아와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유도 콘텐츠'와, 이를 시청하는 동안 수집된 6분 이내의 비디오 영상을 분석해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선별할 수 있는 '사회적 상호작용 인지 AI'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분당서울대병원 유희정 교수팀, 광주과학기술원(GIST) 김홍국 교수팀, 한국로봇융합연구원 김민규 센터장 연구팀이 공동으로 참여했다.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의 부족,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등 특정 행동과 발달을 관찰함으로써 발견할 수 있는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의료 개입이 이루어질 경우 발달 경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조기 선별과 개입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전문 인력의 부족, 사회적 인식의 한계, 시간과 자원에 대한 제약 등으로 인해 증상 발견 이후 실제 진단까지는 2~6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주요 증상이 생후 12~24개월, 경우에 따라 그 이전에도 나타날 수 있어, 조기 선별과 개입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ETRI 연구진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유희정 교수팀과 협력해, 42개월 이하 영유아의 3531건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선별 지표의 민감도를 분석해, 인공지능 기술 적용이 가능한 영유아 관찰 시나리오를 개발했다.

이 시나리오를 토대로, ▲흥미 있는 대상을 보여주거나 ▲이름을 불렀을 때 반응 ▲모방 행동 ▲가리키기 ▲눈 맞춤 등 다양한 사회적 반응을 유도하고 관찰할 수 있는 '사회적 상호작용 유도 콘텐츠'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또한, 해당 콘텐츠를 시청하는 영유아의 상호작용 과정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개인 특성정보 및 감정 인식 ▲응시점 및 호명 반응 탐지 ▲제스처 인식 ▲모방·상동 행동 탐지 등을 수행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인식 AI'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책임자인 ETRI 소셜로보틱스연구실 유장희 박사는 "자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와 함께 증상 발견 후 진단까지의 기간을 단축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