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지하시설물 유발 '땅꺼짐' 작년에만 29건…대책 부심
최근 들어 서울·부산 땅 꺼짐과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공사현장 붕괴로 불안감이 커진 가운데 상하수관, 지하보도 등 지하시설물과 연관된 지반 침하(땅 꺼짐) 사고가 지난해 경기도에서만 30건 가까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에서 발생한 지하시설물 관련 지반침하 사고는 모두 29건으로 집계됐다.
유사 사고는 2018년 79건에서 2019년 53건, 2020년 47건, 2021년 35건, 2022년 36건, 2023년 26건으로 감소세를 이어오다가 작년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6월 24일 오전 11시 30분께 평택시 이충동 한 도로에서는 상수도관 파열로 발생한 폭 3m, 깊이 1m 규모의 구덩이에 차량 1대가 빠지는 사고가 났다.
다행히 운전자가 크게 다치진 않았으나 인근 주민들은 한동안 포트홀 공포에 떨어야 했다.
앞서 같은 해 3월 4일 남양주시 화도읍에서도 매설된 하수도관이 손상되면서 길이 2m, 폭 1.5m, 깊이 2m 크기의 포트홀이 생겨 차량 1대가 파손됐다.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발생한 305건의 지반침하 사고를 시기별로 보면 8월 16.8%, 7월 15.5%, 6월 14.9% 등 우기 때인 6~8월(47.2%)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원인별로 보면 상하수도관 손상에 따른 지반침하가 130건(42.6%)으로 가장 많았고, 다짐(되메우기) 불량 68건(22.3%), 굴착공사 부실 45건(14.8%), 기타 매설 공사 부실 13건(4.3%) 등이 뒤를 이었다.
지반 침하 사고가 주로 상하수도관과 연관된 경우가 많다 보니 전국 최장 규모의 수도관이 매설된 경기도에서 다른 지역보다 사고 발생 가능성이 큰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환경부 상하수도 통계를 보면 2023년 말 기준 전국에 매설된 상수도관은 24만6천126㎞로, 이 중 4만950㎞(16.6%)가 경기도에 묻혀 있다.
다음으로는 경북(2만9천580㎞), 전남(2만2천835㎞), 경남(2만2천136㎞), 충남(2만1천252㎞) 등이며, 서울은 1만3천350㎞이었다.
하수도관도 전국 17만2천495㎞의 19.7%에 이르는 3만3천914㎞가 경기도에 매설돼 있다.
이어 경북(1만7천486㎞), 경남(1만6천479㎞), 전남(1만2천534㎞), 전북(1만1천36㎞) 등의 순으로, 서울은 1만865㎞이다.
상하수도관 전체로 보면 전국 41만8천621㎞ 가운데 7만4천864㎞(17.9%)가 경기도 지하에 매설된 것이다.
이 중 매설된 지 20년 넘어 누수 사고 위험이 큰 노후관도 상수도관 6천368㎞(전체의 15.6%), 하수도관 396㎞(전체의 1.2%) 등 총 6천764㎞(9.0%)에 달한다.
상하수도관이 많이 매설된 것뿐 아니라 대규모 택지개발, 전철 신설, 기존 철도 지하화 등 지하공간 공사가 집중된 경기지역 특성을 고려할 때 지하 안전 확보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른 대책의 하나로 경기도는 2020년부터 토목·지질·구조 등 지하 안전 전문가들로 구성한 '경기지하안전지킴이'를 운영 중이다.
이들은 지반 침하 사고 취약 시기인 해빙기(3~4월), 우기(6월), 집중호우기(9월) 등 연간 3차례 이상 굴착 공사현장(10m 이상)을 대상으로 지하 안전을 평가하고 점검한다.
아울러 시군 지자체 담당자를 대상으로 연간 2회 지하 안전에 대해 교육도 하고 있다.
올해는 42명의 전문가가 지킴이로 활동 중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지반침하 사고를 비롯해 지하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이에 따른 행정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5년 전부터 지하안전지킴이를 운영하고 있다"며 "지하 개발 사업이 안전하게 이뤄져 도민 불안을 최소화할 수 있게 사고 예방책을 더 확고하게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goals@yna.co.kr
<연합뉴스>
2025-04-16 08:3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