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는 인프라 유산(레거시) 계획을 완결하라고 촉구했다."
강원도와 평창조직위는 이번 대회를 준비하면서 총 6개(총 12개 중 6개는 기존 시설 활용) 경기장을 신설했다. 개폐회식이 열리는 평창올림픽플라자는 대회 폐막 이후 축소해 기념관 정도로 남게 된다.
현재 가장 큰 고민거리는 관리 주체마저 정해지지 않은 3곳이다. 강릉 스피드스케이팅경기장(강릉 오벌, 1264억원), 강릉 하키센터(1064억원), 정선 알파인경기장(2034억원)이다. 이 경기장들은 저마다 핸디캡을 갖고 있다. 정선 알파인경기장은 경기장 신설 전 55% 자연 상태 복원을 전제로 사업 승인이 났다. 복원할 경우 45%만으로 스키장 구실을 제대로 할 지가 의문이다. 민간기업이 현 상태에서 관심을 갖기 어렵다는 얘기가 나온다. 평창조직위에선 일부 복구 및 민자유치 검토안을 염두에 두고 있지만 상황이 순탄치 않다.
해결책을 찾아내는 게 숙제다. 이미 관계자들은 사안의 심각성을 알고 있다. 정부 기관도 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기획재정부, 강원도, 체육계, 평창조직위 등이 참가한 TF팀을 꾸렸다. 강원도는 ㅈ중앙 정부의 도움을 원하고 이다. 국민체육진흥법을 개정해 국민체육진흥공단 같은 공기업에 관리주체를 맡기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체육진흥공단은 난색을 표하고 있다. 시민단체는 사후활용 방안을 기관 주도로 할 게 아니라 주민들의 목소리를 반영하라고 주장한다. 시민단체들은 일찌감치 평창올림픽 대회를 평창, 강릉 등으로 한정하지 말고 좀더 분산해서 열자고 제안했었다. 결국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개막을 코앞에 두고 사후 활용 방안은 확정되지 않았다.
바흐 위원장은 "2년 전 이희범 위원장이 취임하기 전에 올림픽 준비 속도가 굉장히 늦었다. 이 위원장이 취임하면서 많이 달라졌다. 작년에 한국의 정치적인 면에서도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지난 가을 사건 때문이다. 정치적으로 긴장이 고조됐고, 한반도 안전 문제 등도 떠올랐다, 하지만 지금은 많이 좋아졌다. UN 총회에서 평화 결의안도 채택됐고, 북한 참가도 결정됐다"고 말했다.
평창=노주환 기자 nogoo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