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웨덴은 완벽한 샷을 했다. 우승할 샷을 했다."
김은정은 손재주가 좋다. 매우 섬세하고 정교하다. 프라모델 조립의 달인이며 예쁜 인테리어에도 관심이 많다. 그의 어릴적 꿈은 요리사였다. 의성여고에 입할 때까지 장래 희망은 요리를 하는 것이었다. 실제로 김은정은 대표팀 동료와 후배들에게 요리를 이것저것 해서 먹이는 걸 즐긴다.
김은정은 경북 의성군의 평범한 시골 농가에서 김광원-김영미 부부의 둘째딸로 태어났다. 요리사를 꿈꾼 '천생 소녀'가 컬링을 처음 접한 건 의성여고 1학년 때였다. 체육시간에 체험 활동을 하면서 컬링이란 스포츠를 알게 됐다. 이때 동기동창이었던 김영미(리드)와 함께 시작했다.
그렇게 스톤을 잡은 지 10년이 훌쩍 넘었다. 지금 그의 가슴에는 태극마크가 새겨졌다. 김은정은 컬링의 꽃 스킵(주장)이 됐고, 자신을 따르는 팀 동료들이 붙었다. 친구 영미에다 영미 동생 김경애(서드)와 경애 친구 김선영(세컨드)까지 가세해 손발을 맞췄다. 그리고 귀염둥이 팀 막내 김초희까지 합류했다.
김은정은 의성여고와 대구대를 거쳐 현재 경북체육회 소속으로 컬링 선수 생활을 이어왔다. 그가 국제 무대에 데뷔한 건 2012년 뉴질랜드에서 열렸던 아시아태평양대회였다. 3위를 했다. 당시 김은정은 2014년 소치올림픽 출전을 목표로 잡고 있었다. 하지만 시련이 닥쳤다.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탈락. 그의 목표의식이 크게 흔들렸다. 팀 킴 멤버들은 며칠 동안 방에 틀어박혀 프라모델을 조립하면서 아픔을 달랬다. 당시 김은정이 마음을 다잡는데 도움을 준 이가 김경두 경북컬링협회 부회장이다. 한국 컬링의 대부로 통하는 김경두 부회장은 김은정이 다시 일어나 2018년 평창올림픽을 향해 다시 뛸 수 있도록 용기와 동기부여를 해줬다.
다시 4년의 경험이 쌓인 김은정의 '팀 킴'은 2017년 4월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승리, 평창올림픽 출전권을 따냈다. '팀 킴'은 평창올림픽을 발칵 뒤집어놓았다.
김은정은 이번 평창올림픽에서 컬링 열풍의 중심이다. 한국은 예선 9경기에서 8승1패로 1위로 준결승에 진출, 일본을 연장 11엔드에 극적으로 제압하고 결승에 올랐다. 한국은 일본과의 준결승전에서 김은정의 마지막 스로 샷으로 1점을 따내며 라이벌 일본을 제압했다. 승리를 확인하고 스킵의 무게감에서 벗어난 그는 예선 패배를 설욕하며 기쁨의 눈물을 흘렸다.
김은정은 이번 대회를 통해 '안경 선배' '영미야' 등의 유행어를 만들어냈다. 네티즌들은 경기 때만 안경을 쓴 채 무표정으로 일관하는 김은정의 카리스마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경기장 밖 쾌활할 김은정은 컬링 빙판에만 서면 '돌부처'로 둔갑했다. 또 그가 경기 때마다 리드 김영미를 '콜'할 때 외친 '영미야'는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김영미에게는 애칭 '국민 영미'가 붙었고, 김은정의 '영미' 콜 어조 의미 분석이 웹에서 순식간에 퍼지기도 했다. 김은정의 엄마 이름도 김영미씨다.
강릉=노주환 기자 nogoon@sportschosun.com
◇다음은 일문일답
-소감은.
▶우리나라 첫 메달 영광스럽다. 여기까지 오는데 힘들었다. 똘똘 뭉쳤다. 우리 팀을 이끌어주신 김경두 회장님과 경북체육회에 감사드린다. 스웨덴 팀은 완벽한 경기를 했다. 우승할 충분한 샷을 보여주었다.
-유명해졌는데 알고 있나.
▶아직 우리가 얼마나 유명해진 지 잘 모르겠다. 감독님으로부터 휴대폰을 받지 못했다. 대회 초반과 분위기가 좀 다른 건 알 것 같다. 컬링을 많이 알리게 된 것 같아 만족스럽다.
-힘들었던 때.
▶제 이름인 김'은'정이라서 은메달만 딴다고 했다. 우스갯소리로 김'금'정으로 개명을 해야 한다는 얘기도 했다. 막상 되지 않았을 때 개인적으로 힘들었다. 그때마다 마음을 다잡고 했다. 최근 힘들었을 때는 국가대표로 선발되고도 그 후에도 순탄치 않았다. 선발전 이후 꽃길을 걷지 못했다. 그때 왜 이렇게 힘들었는지 그런 느낌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