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문화체육관광부가 체육계 비리 근절 대책 중 하나로 합숙훈련 폐지를 골자로 하는 엘리트 선수 양성제도 개편안을 제시한 가운데 체육계의 술렁임이 가시지 않고 있다.
합숙훈련 폐지가 단순히 선수들 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지도자, 선수들을 지원하기 위해 상주하는 진천선수촌 관계자 처우, 시설 관리 비용 조정이 불가피하다. 이럴 경우 5000억원을 들여 건립한 진천선수촌이 제구실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 몰릴 수 있다. 진천선수촌을 유치한 충북 진천군 역시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당초 목표에 차질이 생길 수도 있다.
한 체육계 인사는 "구기종목의 경우, 프로-실업팀 위주로 짜여 있고 합숙기간도 일시적인 경우가 많아 이번 대책에 큰 영향은 없다"면서도 "시설-여건에서 진천선수촌 외에 대안이 없는 개인종목, 비인기종목 선수들에겐 이번 합숙훈련 폐지 추진을 받아들이기 힘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일부의 비리가 마치 전체의 문제인 것처럼 몰아가는 것도 문제가 있다"며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고 근본적인 개혁을 이루기 위해선 정부가 이해당사자인 체육계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봄방학 신나는 초등생 스키캠프 열린다!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