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합숙폐지' 술렁이는 체육계, 지도자들 '전전긍긍'

박상경 기자

기사입력 2019-01-30 07:37


◇합숙훈련 폐지 등을 담은 정부의 체육계 비리 근절 대책에 정작 체육계는 전전긍긍하는 눈치다. 역도 대표팀 선수들이 지난해 7월 10일 충북 진천선수촌에서 훈련에 임하고 있다. 진천=최문영 기자 deer@sportschosun.com

최근 문화체육관광부가 체육계 비리 근절 대책 중 하나로 합숙훈련 폐지를 골자로 하는 엘리트 선수 양성제도 개편안을 제시한 가운데 체육계의 술렁임이 가시지 않고 있다.

각 종목 국가대표 지도자들로 구성된 국가대표지도자협의회는 지난 29일 진천선수촌에 모여 최근 정부 대책에 대한 의견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체육계의 한 관계자는 "진천선수촌 상주 종목 및 지도자 입장에선 합숙훈련 폐지가 곧 경기력 뿐만 아니라 해당 종목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지는 만큼 민감하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며 "문체부 등 정부 기관들이 나서 스포츠혁신위원회(가칭)를 만드는 등 속도를 내는 가운데 대응책 찾기에 전전긍긍하는 눈치"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문체부는 지난 25일 성폭력 등 체육계 비리를 근절하기 위한 대책을 발표하면서 합숙훈련 폐지 및 대한체육회로부터의 대한올림픽위원회(KOC) 분리 검토, 국제대회 우수 선수 및 지도자의 경기력 향상 연금, 병역특례 제도 개선 추진 안을 밝혔다. 하지만 체육계에서는 정부 대책이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며 아쉬움을 드러내고 있다. 현 시스템에서 국제경쟁력을 키워온 선수들에게 '역차별'이 될 수도 있다며 우려하는 눈치다. 일각에선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4일 청와대 수석 보좌관 회의 당시 엘리트 체육 육성 방식 전면 재검토 발언을 내놓은 지 열흘 만에 대책이 나온 것을 두고도 물음표를 띄우고 있다.

합숙훈련 폐지가 단순히 선수들 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지도자, 선수들을 지원하기 위해 상주하는 진천선수촌 관계자 처우, 시설 관리 비용 조정이 불가피하다. 이럴 경우 5000억원을 들여 건립한 진천선수촌이 제구실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 몰릴 수 있다. 진천선수촌을 유치한 충북 진천군 역시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당초 목표에 차질이 생길 수도 있다.

한 체육계 인사는 "구기종목의 경우, 프로-실업팀 위주로 짜여 있고 합숙기간도 일시적인 경우가 많아 이번 대책에 큰 영향은 없다"면서도 "시설-여건에서 진천선수촌 외에 대안이 없는 개인종목, 비인기종목 선수들에겐 이번 합숙훈련 폐지 추진을 받아들이기 힘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일부의 비리가 마치 전체의 문제인 것처럼 몰아가는 것도 문제가 있다"며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고 근본적인 개혁을 이루기 위해선 정부가 이해당사자인 체육계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


▶봄방학 신나는 초등생 스키캠프 열린다!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