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회의원과 불화설 일축…"행정이 주로 뛰었으나 추후 국회 역할 커"
그는 이날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과 경쟁에서 전북이 후보지로 결정된 것에 대해) 누군가는 이변 혹은 기적이라고 말하지만 우리 도민의 도전 정신과 헌신, 열정이 이뤄낸 당당한 성취이자 빛나는 성공"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아울러 정강선 전북체육회장을 비롯한 체육인, 국회의원, 시·군 의원과 단체장, 홍보대사들에게도 감사의 뜻을 표했다.
김 도지사는 "인도와 이집트 등 2036 하계올림픽 유치에 뛰어든 도시가 10여곳이고 국제 무대의 벽은 더욱 높다"며 "올림픽 유치를 책임질 전담 조직을 곧바로 꾸리고 도의회와 협력해 필요한 추경 예산을 편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남, 광주, 충남, 충북, 대구 등 연대 도시와의 협력 방안도 구체적으로 마련하고 정부 심의, 국내 승인 절차를 신속히 추진하겠다"며 "올림픽 개최도시 사전 선정 기구인 '미래유치위원회'를 방문해 전북의 강한 의지를 전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북과 경쟁했던 서울특별시와 공동 개최 가능성에 대해서는 "대한체육회 대의원총회에서 전북 단독 개최가 의결됐기 때문에 지금 다시 공동 개최를 얘기하는 것은 대의원들의 뜻에 반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잘라 말했다.
그러면서도 "(대한체육회) 이사회의 많은 분이 공동 개최가 국제 경쟁에서 유리하다는 의견을 주신 것도 사실이기에 대한체육회와 좀 더 의논해서 우리나라의 유치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을 기존의 틀을 현저하게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논의하겠다"고 여지를 뒀다.
올림픽을 치른 많은 도시가 빚에 허덕이는 '승자의 저주'에 관해서는 "이런 문제 때문에 올림픽에 도전하거나 유치를 표명하는 도시가 현저하게 줄어든 게 사실"이라면서도 "(전북은) 37개 경기장 중 4개만 신축하고 33개는 기존 시설, 임시시설로 쓰도록 계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간 서울과 경쟁 관계여서 생각을 못 했지만, 서울과 분산개최를 계획했던 경기, 인천, 강원의 경기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임시시설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재설계하겠다"고 밝혔다.
또 국내 후보 도시 유치 과정에서 불거진 국회의원들과 '불화설'에 대해 "국회의원들이 전혀 움직이지 않았다는 말은 사실과 다르다"며 "국회의원들에게 나름 부탁을 하고 또 실제로 피드백을 주고받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직접 발로 뛰어야 하는 일이 대부분이었기에 도체육회장, 전주시장 등 행정의 역할이 많았던 것은 사실"이라며 "어제 우원식 국회의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에게 소식을 전하면서 앞으로 훨씬 더 커질 국회의 역할을 부탁했다"고 전했다.
앞서 전북도는 전날 서울 올림픽파크텔에서 열린 2036 하계올림픽 국내 유치 후보 도시 선정을 위한 대한체육회 대의원 투표에서 49표를 얻어 11표에 그친 서울시를 여유롭게 제쳤다.
doo@yna.co.kr
<연합뉴스>